Computer/Programming(코딩)

[코딩도장] 곱하기에서 찾아낸 재미있는 5와 0의 상관관계

Lewis.yongmin 2015. 7. 24. 00:56

참고 : http://codingdojang.com/scode/466


오늘도 재미있는 수학규칙을 하나 배웠다.


암만 생각해도 세상에 똑똑한 사람이 참 많은 듯...


많은 수를 곱하다 보면 뒷자리가 연속된 0의 나열로 된 수를 많이 볼 수 있다.


예를들어) 

A. 2 * 4 * 5 * 12 * 25 * 43 = 516000  이고


B. 2 * 3 * 4 * 5 * 6 * 7 * 8 * 9 * 10 = 3628800 이다.


A의 경우 수의 끝이 0이 3개로 나열되었으며,

B의 경우 수의 끝이 0이 2개로 나열되어 있다.


하지만 여기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어서 많은 수를 곱하더라도 0이 몇개일지 쉽게 알 수 있다는 점!


결론부터 말하자면 A에는 5와 25, 즉 5가 3개로 이루어져 있다.

B에는 5와 10(2*5)으로, 즉 5가 2개로 이루어져 있다.


5의 갯수가 수의 끝 0의 갯수와 같다는 것이다.


다만 주의할 점은, 2의 갯수도 5의 갯수보다 같거나 커야한다는 점이다.


2 * 5 = 10, (2가 하나, 5가 하나 = 0이 하나)

2 * 25 = 50, (2가 하나, 5가 둘 = 0이 하나)

4 * 25 = 100, (2가 둘, 5가 둘 = 0이 둘)


오늘도 나의 CPU가 열번 할 일을 한번만 하도록 해준 뜻 깊은 하루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