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들어 포맷하는 일이 몇번 있었는데, 포맷 후 윈도우7을 설치하는 것보다 업데이트를 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들었다.


'그래, 오늘은 한번 시간내서 업데이트를 통합시켜보자!'


<준비물>

1. OS 설치 파일 (Windows 7)

2. 업데이트 파일 모음 (~2015년 3월 + IE11)

3. 업데이트에 사용될 Tool (WIM 통합 스크립트 v6.3 r1)


준비물은 알아서 구하시길 바라며...




Tool 폴더내의 모습이다.


1번 준비물의 sources 폴더로 진입하면 install.wim 파일이 있다. 이 파일을 WIM 폴더(없으면 생성)에 집어 넣는다.


위 사진에는 WIM폴더 밖에 install.wim파일이 있는데, 이는 통합 후 통합이 완료되어 새로 생긴 파일이다.

(즉, WIM폴더에는 원본파일이 계속 존재)


2번 준비물은 폴더명을 위 사진처럼 구분하여 넣어주어야한다.

(간혹 폴더명이 위처럼 나뉘어져 있지 않은 업데이트 모음 파일을 받았다면 나뉘어진 것으로 다시 받기를 권장)


준비가 완료되었다면 start_v6.3r1과 같은 Tool 실행파일을 실행한다.




이 작업에 필요한 것만 언급할 것인데,


크게는 통합에 필요한 1번 작업과 용량 줄이기 5번 작업만 할 것이다.


1번을 누르고 진입하면



-WIM 폴더 내에 있는 install.wim 원본파일을 선택한다-


-원본파일 내의 Windows 7 버전들이 나타난다, 9개의 버전에 업데이트를 통합하려면 9번 이 과정을 거쳐야한다-



-드라이버 및 제품 키, 라이센스 등의 통합도 가능하지만 난 패스-


이 후, 파란 화면으로 전환되면서 통합이 진행된다.


하나의 버전을 통합하는데 대략 30분정도 걸렸으며, 사용자 환경에 따라 시간은 더 빨라질 수도 느려질 수도 있다.


통합이 완료되면 WIM폴더 밖에 new_install.wim(이름은 달라질 수 있음)로 통합된 설치파일이 생성된다.


<주의> 두개 이상의 Windows 7 버전에 대해 업데이트 통합을 진행할 시!


생성된 install.wim파일을 다시 WIM폴더에 덮어쓰고 이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.


혹은, 그대로 두고 진행하여도 되는데



WIM폴더의 install.wim(원본)이 아닌, 작업 폴더의 install.wim(통합된)파일을 선택하여 진행하여야한다.


통합이 완료되면 파일의 크기가 어마어마하게 커졌음을 알 수 있다.


조금이라도 용량을 줄이기 위해 



5번 작업을 진행하면 조금이나마 용량을 줄일 수 있다.


자, 이제 통합이 완료되었으니 이 install.wim 파일을 윈도우 sources폴더에 이동시키고 Windows 7을 설치해보면 업데이트가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


한번의 시간투자로 번거로운 시간을 아낄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은가~

 

E - Mail

lewis.yongmin@gmail.com

카테고리

분류 전체보기 (113)
Computer (29)
Share Info(정보나눔) (9)
Ireland(2013. 9 - 20.. (31)
Trip (43)
ETC (1)